엔유 천황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엔유 천황은 969년 11세의 나이로 즉위하여 984년 26세에 양위한 일본의 제64대 천황이다. 후지와라 씨족 간의 섭관 정치 다툼 속에서 외삼촌 후지와라노 가네미치를 지지했으며, 재위 기간 동안 하치만 신사 및 히라노 신사로의 황실 행렬이 처음으로 이루어졌다. 궁궐 화재와 신성한 거울 손상 등의 사건을 겪었으며, 양위 후 승려가 되어 콩고 호라는 법명을 받고 32세에 사망했다. 묘는 교토에 있는 노치노 무카라미노 미사사기이다.
더 읽어볼만한 페이지
엔유 천황 - [인물]에 관한 문서 | |
---|---|
기본 정보 | |
휘 | 모리히라 (守平) |
묘호 | 엔유 (円融) |
시호 | 엔유 천황 (円融天皇) 또는 엔유인 (円融院) |
법명 | 금강법 (金剛法) |
별칭 | 주자쿠인 상황 (朱雀院上皇) |
통치 정보 | |
재위 기간 | 969년 9월 27일 - 984년 9월 24일 |
일본 연호 재위 기간 | 안와(安和) 2년 8월 13일 - 에이칸(永観) 2년 8월 27일 (음력) |
즉위례 | 969년 11월 5일 (안와 2년 9월 23일, 음력) |
대嘗祭 | 970년 12월 18일 (덴로쿠(天禄) 원년 11월 17일, 음력) |
시대 | 헤이안 시대 |
수도 | 헤이안쿄 |
황거 | 헤이안 궁 |
섭정 | 후지와라노 사네요리 (969년–970년) 후지와라노 고레타다 (970년–972년) |
관백 | 후지와라노 가네미치 (972년–977년) 후지와라노 요리타다 (977년–986년) |
태정대신 | 후지와라노 고레타다 (971년-972년) 후지와라노 요리타다 (974년-977년) 후지와라노 가네미치 (978년-989년) |
연호 | 안와 덴로쿠 덴엔 조겐 덴겐 에이간 |
개인 정보 | |
출생 | 959년 4월 12일 (덴토쿠(天徳) 3년 3월 2일, 음력) |
출생지 | 헤이안쿄 (교토) |
사망 | 991년 3월 1일 (쇼랴쿠(正暦) 2년 2월 12일, 음력) |
사망지 | 엔유지 |
능묘 | 노치노무라카미노미사사기 (後村上陵) |
아버지 | 무라카미 천황 |
어머니 | 후지와라노 안시 |
배우자 | 후지와라노 고시 (973년 결혼, 979년 사망) 후지와라노 준시 (982년 결혼) |
자녀 | 이치조 천황 |
황실 | 일본 황실 |
기타 정보 | |
원복 | 972년 1월 21일 (덴로쿠 3년 1월 3일, 음력) |
계승자 | 카잔 천황 |
2. 약력
엔유 천황의 개인 이름(휘, 이름)은 '''모리히라 친왕'''(師平親王)이었다.[4] 무라카미 천황의 다섯째 황자이며, 황후 후지와라노 안시 소생으로는 세 번째 황자였다. 동복 형으로는 레이제이 천황, 다메히라 친왕이 있었고, 네 명의 동복 자매가 있었다. 오와 4년(964년) 어린 나이에 어머니 안시를 여의었다. 어머니 사후에는 숙모이자 시게아키라 친왕의 비였던 후지와라노 도시에게 길러졌으며, 형제자매들과 함께 외숙부이자 당시 중궁권대부였던 후지와라노 가네미치의 보호를 받았다.[13]
형인 레이제이 천황이 즉위한 후, 황태자 자리를 둘러싼 경쟁 끝에 고호 4년(967년) 9월 1일, 9세의 나이로 황태자에 책봉되었다. 이는 후지와라씨의 강력한 지지에 힘입은 결과였다. 안나의 변(969년)으로 미나모토노 다카아키라가 실각한 지 5개월 후인 969년 9월 23일, 레이제이 천황의 양위를 받아 11세의 나이로 즉위했다. 즉위 직후에는 누이인 쇼시 내친왕을 일품준삼궁으로 삼았다.
재위 기간 중에는 외척인 후지와라 가문 내부의 권력 다툼이 격화되었으며, 이는 섭관 정치의 변화로 이어졌다. 에이칸 2년(984년), 가잔 천황에게 양위하고 태상천황이 되었다. 이후 칸나 원년(985년)에 출가하였고, 쇼랴쿠 2년(991년) 33세의 나이로 붕어했다.
엔유 천황은 5명의 황후 또는 황실 비빈을 두었으며, 유일한 황자인 이치조 천황을 얻었다.[5] 와카를 애호하여 『습유집』(拾遺和歌集) 이하 칙찬집에 24수가 실렸으며, 『엔유인 어집』(円融院御集)도 전해진다.
2. 1. 섭관 정치의 격화와 갈등
고호 4년(967년) 9월 1일, 레이제이 천황이 즉위한 후 황태자 책봉을 둘러싸고 후지와라씨와 좌대신 미나모토노 타카아키라가 대립했으나, 후지와라 씨의 주장이 관철되어 9세의 모리히라 친왕(엔유 천황)이 황태자가 되었다. 이 대립은 안나의 변(969년 3월)으로 이어져 미나모토노 타카아키라가 실각하는 결과를 낳았다. 이로 인해 타카아키라의 사위였던 다메히라 친왕의 입지가 불안정해졌고, 5개월 후인 9월 23일 레이제이 천황이 양위하면서 모리히라 친왕이 11세의 나이로 즉위했다.어린 나이에 즉위했기 때문에 큰아버지인 태정대신 후지와라노 사네요리가 섭정에 취임했다.[10] 덴로쿠 원년(970년) 사네요리가 사망하자 외할아버지인 후지와라노 고레타다가 섭정을 이어받았다.[10] 덴로쿠 3년(972년) 엔유 천황이 원복을 치른 직후[14] 고레타다마저 사망하자, 그의 동생들인 후지와라노 가네미치와 후지와라노 가네이에 사이에 관백 자리를 놓고 치열한 권력 다툼이 벌어졌다. 엔유 천황은 어머니 안시의 유언에 따라 가네미치를 관백으로 임명했다.[13] 이듬해인 덴로쿠 4년(973년), 가네미치는 자신의 딸 후지와라노 고시를 입궁시켜 중궁으로 삼았다.
당초 엔유 천황은 형 레이제이 천황의 아들이 성장할 때까지 잠시 왕위를 맡는 '일대주'(一代主), 즉 과도기적 천황으로 여겨졌다. 이러한 상황에서 외할아버지 고레타다나 가네이에는 딸을 천황에게 입궁시킬 생각이 없었다. 그러나 어머니 안시 사후 황자녀들을 돌보았던 가네미치가 천황의 유일한 후견인으로 부상하면서, 엔유 천황과 관백 가네미치를 중심으로 새로운 황통을 형성하려는 계획이 세워진 것으로 보인다.[13]
덴엔 2년(977년) 관백 가네미치가 중병에 걸리자, 그는 자신의 후임으로 외척 관계가 없는 후지와라노 요리타다를 추천했고 천황은 이를 받아들였다.[10] 이는 가네미치의 강력한 영향력 때문으로 해석되기도 하지만, 당시 가네이에는 엔유 천황이 아닌 형 레이제이 상황에게 장녀 후지와라노 조시를 입궁시킨 상태였고, 엔유 천황 역시 자신의 딸 후지와라노 준시를 입궁시킨 요리타다에게 더 호의적이었을 수 있다는 시각도 존재한다.
그러나 덴겐 원년(978년) 가네이에도 차녀 후지와라노 센시를 입궁시켰고, 덴겐 3년(980년) 뇨고(女御)가 된 센시는 천황의 유일한 자녀인 야스히토 친왕(훗날의 이치조 천황)을 낳았다.[10] 전년도인 덴겐 2년(979년) 중궁 고시가 사망하여 중궁 자리가 비어 있었음에도 엔유 천황은 즉시 후임을 책봉하지 않다가, 덴겐 5년(982년)에 이르러서야 요리타다의 딸 준시를 중궁으로 책봉했다. 하지만 준시는 자녀를 낳지 못해 '소복(小福)의 후(后)'라는 불명예스러운 별명을 얻었다.
이러한 결정에 격분한 가네이에는 딸 센시와 외손자 야스히토 친왕을 데리고 자택으로 돌아가 출사를 거부하는 강수를 두었다.[10] 엔유 천황 역시 두 차례 다이리(內裏)가 소실되었을 때 가네이에에게 의존하지 않고, 관백 요리타다의 저택과 고(故) 가네미치의 저택인 호리카와 전(堀河殿)을 사토다이리(里内裏)로 사용하며 가네이에와 대립각을 세웠다. 양측의 자존심 싸움은 극으로 치달았다.
결국 엔유 천황은 가네이에에게 양보할 수밖에 없었다. 에이칸 2년(984년), 아들 야스히토 친왕을 황태자로 삼는 조건으로 레이제이 천황의 황자인 모로사다 친왕(가잔 천황)에게 양위하고 태상천황으로 물러났다. 이는 엔유 천황 재위 기간 내내 격화되었던 후지와라 가문의 섭관 정치 갈등이 가네이에의 실질적인 승리로 마무리되었음을 보여준다.
2. 2. 문화적 활동
엔유 천황은 후대의 대중문화 작품에서도 등장한다. NHK 대하드라마 『빛나는 너에게』(2024년)에서는 배우 반도 미노스케가 엔유 천황 역을 맡았다.[17]2. 3. 말년과 죽음
에이칸 2년(984년) 8월 27일, 후지와라노 카네이에에게 양보하여 아들 가네히토 친왕(훗날의 이치조 천황)을 황태자로 삼는 대신, 레이제이 천황의 황자인 모로사다 친왕(가잔 천황)에게 26세의 나이로 양위하고 태상천황(다이조 덴노)가 되었다.[5]양위 후에는 비교적 자유로운 태상천황으로서 시가와 관현을 즐겼으며, 이와시미즈 하치만 궁, 이시야마데라, 난토(南都)의 여러 절을 참배했다. 후원(後院)의 이름을 따 스자쿠인 상황(朱雀院 上皇)이라고도 불렸다. 칸나 원년(985년) 2월 13일에는 무라사키노(紫野)에서 성대한 '자의 날의 어유(子の日のお遊び)'를 열어 타이라노 카네모리, 오나카토미노 요시노부, 키요하라노 모토스케, 미나모토노 시게요키, 키노 토키후미 등 저명한 가인들에게 와카를 짓게 했다. 『곤자쿠 이야기집』 권28에 전하는 소네노 요시타다가 초대받지 않았음에도 초라한 카리기누(狩衣) 차림으로 나타났다가 쫓겨난 일화는 이때의 일이다.
같은 해 칸나 원년(985년) 8월 29일, 대승정 칸초(寛朝)에게 수계를 받고 출가하여 불교 승려가 되었으며, 곤고 호(金剛法)라는 법명을 받았다.[5] 이후 칙원사(勅願寺)인 엔유지(円融寺)에서 거처했다.
칸나 2년(986년) 6월 23일, 칸나의 변(寛和の変)으로 가잔 천황이 퇴위하고 자신의 아들인 이치조 천황이 7세의 나이로 즉위했다. 이치조 천황의 치세 동안 엔유 법황은 어린 천황을 지도하며 강한 발언권을 가졌고, 원정(院政)을 행하려는 의도가 있었다고도 여겨진다. 이로 인해 섭정이 된 후지와라노 카네이에와 대립하기도 했는데, 이는 엔유 법황의 신뢰를 받던 후지와라노 사네스케의 일기 『쇼유키(小右記)』를 통해 알 수 있다. 또한, 형인 타메히라 친왕을 시키부쿄(式部卿)에 임명하고 일품(一品)에 서임했는데, 이는 황족 중 가장 높은 지위에 해당하는 것으로 엔유 법황과 이치조 천황의 정치적 배려로 해석된다.
쇼랴쿠 2년(991년) 2월 12일, 자신의 칙원사인 엔유지에서 33세의 나이로 붕어했다.[5] 엔유 천황의 능묘는 교토에 있으며, 궁내청은 이곳을 엔유 천황의 능으로 지정하고 있다.[1] 공식 명칭은 '''노치노무라카미노미사사기'''(後村上陵)이다.[9] 붕어 후에는 출가 후 거처했던 엔유지의 이름을 따 '엔유인'(円融院)으로 추증(追贈)되었다.
3. 가계도
엔유 천황의 즉위 전 개인 이름(휘)은 모리히라 친왕(守平親王일본어)이었다.[4] 그는 무라카미 천황과 황후 후지와라노 안시(후지와라노 모로스케의 딸) 사이에서 태어난 다섯 번째 아들이며, 레이제이 천황과는 동복 형제이다.
967년, 형 레이제이 천황이 후지와라 씨의 강력한 지지를 얻지 못하자, 모리히라 친왕이 형을 제치고 황태자로 책봉되었다.
엔유 천황은 5명의 황후 또는 후궁과 1명의 황자를 두었다.[5]
- 배우자 및 자녀
지위 | 이름 | 비고 | 자녀 |
---|---|---|---|
황후 (중궁) | 후지와라노 코시(藤原 媓子일본어) (947~979) | 후지와라노 가네미치의 딸 | 없음 |
황후 (중궁) | 후지와라노 준시(藤原 遵子일본어) (957~1017) | 후지와라노 요리타다의 딸 | 없음 |
뇨고(女御) (증 황태후) | 후지와라노 센시(藤原 詮子일본어) (962~1002) | 후지와라노 가네이에의 딸. 히가시산조인(東三条院일본어)으로 불림. | 이치조 천황(야스히토 친왕(懐仁親王일본어)) |
뇨고(女御) | 손시 내친왕(尊子内親王일본어) (966~985) | 레이제이 천황의 딸 | 없음 |
고이(更衣) | 주조노 미야스도코로(中将御息所일본어) | 후지와라노 가네타다의 딸 | 없음 |
고이(更衣) | 쇼조노 고이(少将更衣일본어) | 없음 |
- 주요 직계 조상
관계 | 이름 | 비고 |
---|---|---|
아버지 | 무라카미 천황 | 제62대 천황 |
어머니 | 후지와라노 안시 | 후지와라노 모로스케의 딸 |
친할아버지 | 다이고 천황 | 제60대 천황 |
친할머니 | 후지와라노 온시 | 후지와라노 모토쓰네의 딸 |
외할아버지 | 후지와라노 모로스케 | 후지와라노 타다히라의 아들 |
외할머니 | 후지와라노 세이시 | 후지와라노 츠네쿠니의 딸 |
4. 재위 중의 연호
5. 능묘
능(陵)은 궁내청에 의해 교토부 교토시 우쿄구 우타노 후쿠오지정(宇多野福王子町)에 있는 '''고무라카미 능'''(後村上陵|노치노무라카미노미사사기일본어)으로 지정되어 있다. 궁내청 형식은 원형분이다.
유해는 엔유지(円融寺) 북쪽에서 화장되었으며, 아버지 무라카미 천황릉 옆에 유골이 안치되었다. 오늘날에도 료안지 뒤 주산(朱山)에 엔유인 화장총(円融院火葬塚)이 남아 있다.
또한 황거에서는 궁중삼전 중 하나인 황령전에서 다른 역대 천황 및 황족과 함께 엔유 천황의 영을 모시고 있다.
참조
[1]
웹사이트
円融天皇 (64)
http://www.kunaicho.[...]
[2]
서적
The Imperial House of Japan
1959
[3]
서적
Annales des empereurs du japon
https://books.google[...]
1834
[4]
서적
https://books.google[...]
[5]
서적
[6]
서적
[7]
서적
https://books.google[...]
[8]
서적
https://books.google[...]
[9]
서적
[10]
서적
[11]
서적
https://books.google[...]
[12]
웹사이트
Genealogy
https://reichsarchiv[...]
2010-04-30
[13]
서적
平安朝の女性と政治文化 宮廷・生活・ジェンダー
明石書店
2017
[14]
문서
日本紀略
[15]
서적
王朝時代の実像1 王朝再読
臨川書店
2021
[16]
문서
妃
[17]
뉴스
本郷奏多、『光る君へ』で花山天皇役「楽しみながら演じたい」『麒麟がくる』では関白役
https://news.mynavi.[...]
マイナビ
2023-05-23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